사스
커뮤니케이션 생물학 6권, 기사 번호: 556(2023) 이 기사 인용
611 액세스
6 알트메트릭
측정항목 세부정보
2021년 말에 Omicron 변종이 등장한 이후로 빠르게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인 변종이 되었습니다. Omicron 변종은 초기 우한 및 다른 변종에 비해 더 쉽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. 이 연구에서 우리는 Omicron 변종과 관련된 감염성 변화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. 우리는 스파이크의 S2 서열에 위치한 돌연변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변경된 바이러스 융합을 담당하는 돌연변이를 식별했습니다. 우리는 S1/S2 절단 부위 근처의 돌연변이가 S1/S2 절단을 감소시켜 융합 발생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. HR1 및 기타 S2 서열의 돌연변이도 세포-세포 융합에 영향을 미칩니다. 핵자기공명(NMR) 연구와 in silico 모델링을 바탕으로 이러한 돌연변이는 바이러스 융합의 여러 단계에서 융합 발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Omicron 변종에는 융합 형성 감소 및 그에 따른 병원성 약화에 기여하는 돌연변이가 축적되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.
SARS-CoV-2의 Omicron 변종 BA.1은 2021년 말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202221년 초에 빠르게 지배적인 우려 변종(VOC)이 되었습니다.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더 높은 사례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중화항체1에 대한 수치와 반응이 낮습니다. VOC에는 Alpha(B.1.1.7), Beta(B.1.351), Gamma(P.1), Delta(B.1.617.2), Omicron(원래 B.1.1.529, BA로 재분류됨) 등 5가지 VOC가 있습니다. lineages)뿐만 아니라 2020년 12월 기준 세계보건기구(WHO) 기준으로 Lambda(C.37) 및 Mu(B.1.621)를 포함한 두 가지 관심 변종(VOI)도 존재합니다12. VOC 중 BA.1 변종 및 관련 변종( BA.2, BA.4, BA.5)는 2022년에 지배적인 순환 변이체로 등장했으며 스파이크 단백질에 30개 이상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습니다. BA.1의 경우 N 말단 도메인과 수용체 결합 도메인(RBD)에 20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존재합니다. 다음 5개의 돌연변이(T547K, D614G, H655Y, N679K, P681H)는 하위 도메인 1/2 또는 S1/S2 절단 부위(R685) 근처에 위치하고 마지막 6개의 돌연변이(N764K, D796Y, N856K, Q954H, N969K, 및 L981F)는 S2' 절단 부위(R815) 및 HR1(헵타드 반복 1) 영역3 주위에 위치합니다.
B.1.1.7 및 B.1.617.2 변종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S1/S2 절단을 개선하는 푸린 절단 부위 근처에 위치한 돌연변이로 인해 우한(Wuhan) 균주에 비해 세포-세포 융합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. 효율성4,5. B.1.1.7 및 B.1.617.2 변종의 더 높은 병원성은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융합 형성이 병인 및 질병 심각도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세포융합 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6. 반면 BA.1은 다른 VOC에 비해 임상적으로 더 전염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BA.1 변종은 기존 중화 항체에 대한 저항성 때문에 재감염 및 백신 돌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, 7. 흥미롭게도 BA.1 변종은 B.1.617.2 변종에 비해 덜 심각한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8. 융합 형성과 병인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BA.1 변종은 융합 형성 능력이 더 낮을 수 있다는 가설이 세워졌습니다. 그러나 융합 형성에 관한 후속 연구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9,10. B.1.1.7 및 B.1.617.2 변이체의 푸린 절단 부위 근처의 돌연변이가 S1/S2 절단 효율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BA.1 변이체의 감소된 융합 형성이 푸린 절단 부위 근처의 돌연변이의 결과일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. 결과적으로 덜 효율적인 S1/S2 절단이 발생합니다.
최근 연구에서는 BA.1 변종11,12에서 중화 항체의 에피토프와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에 대해 보고했습니다. 여기서 우리는 BA.1 변종의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주로 세포-세포 융합 분석을 사용하여 스파이크 매개 융합에 중점을 두었습니다. 우리는 약화된 융합 형성이 푸린 절단 부위 근처의 돌연변이뿐만 아니라 HR1 영역 안팎의 돌연변이로 인한 것임을 보여주었습니다. 많은 돌연변이가 S1/S2 절단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, HR1 영역의 일부 돌연변이는 바이러스 유발 융합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. 이러한 돌연변이는 BA.1 변종의 변경된 병원성 표현형을 그럴듯하게 설명합니다.